본문 바로가기
정보

디지털 마케팅 핵심용어 16가지 정리

by ㅣㅹㅣ 2021. 10. 14.
728x90
반응형

디지털 마케팅 핵심용어 16가지 정리

 

 

 

 

온라인마케팅, 디지털마케팅 핵심용어 16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도 구글애드 워즈 마케팅 책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디지털 노마드를 꿈꾸시는 분들께 추천드리는 책입니다.

 

 

 

1. 랜딩 페이지(Landing Page)
검색 광고의 텍스트나 배너 광고, 페이스북 광고, 구글 애드워즈 등의 광고를 클릭했을 때 연결되는 페이지를 말한다. 랜딩 페이지는 주로 광고주의 홈페이지나 이벤트 페이지로 연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노출(mpression)
광고 노출 횟수를 말한다. 웹 사이트가 열려서 배너 광고가 한 번 노출될 때 한 번 카운팅된다. 특히 웹 페이지의 한 지면에는 디자인에 따라 여러 개의 광고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웹 페이지보다는 광고 뷰로
더 많이 표기된다.

 

 

3. 체류 시간(DT=Duration Time)
방문자가 특정 시사이트에 접속해서 미물다가 떠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PV(Page View)와 함께 고객 충성도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4. PV(Page View)
인터넷 이용자가 특정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둘러본 페이지수를 말한다. 홈페이지의 방문자수가 한 명이라도 항목별로 여러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수치는 방문자수와 같지만 보통은 그보다 높게 나타난다.

 

 

 

6. 전환률(Conversion Rate)
광고 등을 통해서 사이트를 방문한 사람이 제품 구매, 장바구니 담기, 회원 가입, 뉴스레터 신청 등 광고주가 의도한 행위를 하는 것을 뜻한다. 광고의 성과를 파악하는 지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쇼핑몰과 같은 전자 상거래 업종은 주로 '결제'를 전환으로 잡는다. 제휴 마케팅에서 전환률은 2가지 뜻이 있는데, 첫째는 랜딩 페이지를 통해 'DB 접수'가 일어나는 경우이고, 둘째는 '유효 접수'가 될 때이다. 전환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보통 '전환수/유입수×100'을 하면 된다.

 

 

5. 도달률(Reach)
SNS 광고든, 배너 광고든 특정 메시지가 존재할 때 최소한 한 번 또는 그이상 노출된 이용자수나 퍼센티지를 말한다. 그런데 도달률은 의도한 메시지가 대상에 여러 번 노출되더라도 한 번으로 계산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이트에 걸린 C라는 광고를 10시간 동안5번 보았다고 해도 도달은 1번으로 계산된다.

 

 

 

7. 이탈률(Bounce Rate)
소비자가 특정 홈페이지를 방문하고 다른 페이지로의 유입 없이 한 페이지만 보고 나가는 경우를 반송수라고 한다. 이때 '방문수 대비 반송수의 비율'을 '이탈률'이라고 한다. 이탈률은 '반송수/방문수× 100으로 계산할 수있다.

 

 

 

8. CPC(Cost Per Click)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 특정 키워드를 검색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광고주의 사이트가노출되도록 하는 키워드 광고이다. 네이버 키워드 광고를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파워 링크 형태로 키워드 광고가 노출되는데 그것을 클릭하면 클릭당 광고 비용이 빠져나간다. 제휴 마케팅에서는 마케터를 이용해 클릭당 수익을 얻는 구조가 된다. 반면에광고주는 클릭당 광고 비용이 지출된다.

 

 

 

9. CPA(Cost Per Action)
소비자가 온라인상에 노출된 광고를 클릭해서 랜딩 페이지에 진입한 다음,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 행동을 취할 때 과금이 되는 방식이다. 주로 구매를 기준으로 삼지만, 제휴 마케팅에서는 회원 가입이나 무료 상담 신청 등을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10. CPM(Cost Per Mile)
광고비 책정 방법 중 하나이다. 광고가 1,000번 노출됐을 때의 금액을 뜻하며, 매체의 유명도와 매체 내 카테고리의 유입 정도에 따라 CPM 가격이천차만별로 형성되어 있다.

 

 

11. CPI(Cost Per Install)
광고의 노출량과 상관없이 애플리케이션 설치 건당 과금되는 방식이다. 주로 모바일 게임과 관련된 광고에 많이 적용되며 유사한 방식의 CPE는 앱이 설치되고 한 번 실행되면 과금이 된다.

 

 

12. CPV(Cost Per View)
광고 시청당 비용을 뜻한다. 주로 유튜브나 네이버의 TV캐스트와 같은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에 주로 사용된다. 동영상 광고가 노출되면 무조건 과금되는 방식이 아니라 15초나 30초 등 일정 시간 이상 광고를 시청해야 과금되며 광고 영상을 클릭하면 지정된 랜딩 페이지로 이동한다.

 

 

 

13. CTA(Call To Action)
소비자의 반응을 유도하는 행위 또는 요소를 뜻한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의 좋아요 버튼이나 온라인 쇼핑몰의 구매하기 버튼 등이 모두 CTA를 위한 방법이다.

 

 

 

14. CTR(Click Through Rate)
클릭률이라고 하며, ‘광고의 노출 횟수 대비 클릭이 일어난 횟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쉽게 말해서 광고를 본 사람 중 몇 명이나 해당 광고를 클릭했는가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클릭수/노출수× 100'으로 계산할수 있다.

 

15. 배너 광고(Banner Advertising)
홈페이지 내에 띠 형태의 이미지를 만들어 노출하는 광고 형태를 말한다.현수막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어서 배너(Banner)광고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DA(Display Advertising)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노출하지만 GDN (Google Display Network)과 같은 네트워크 광고의경우 타킷팅 광고도 가능하다.

 

 

 

 

16. 타킷팅 광고(Targeting Advertising)
일반적인 배너 광고들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노출되는 것과 다르게 특정 지역, 성별, 연령, 관심사 등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 계층만을 상대로 노출하여 효율을 높이는 광고를 뜻한다. 타깃 설정을 위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로그인 기반의 매체에서 실핼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